파동의 법칙
- 4번 조정파동은 3번 상승파동 내 하위파동 4번 파동의 저점과 일치하거나 3번 파동의 피보나치의 61.8%를
되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 (절대법칙은 아님, 피보나치는 고점으로부터 저점을 때 값)
- 비트코인은 1번 파동을 찾기가 힘들고 3 파동이 길며, 3번 파동이 길기 때문에 4번 파동은 61.8% 보다 더
깊게 조정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
파동변화의 법칙
- 2번파동과 4번 파동은 같은 형태의 파동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 ( 2번과 4번이 같은 모양이 나올
경우 임펄스가 아니라는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.)
- 삼각수렴의 경우 4번 파동 및 B파동에서 많이 나옵니다.
- 조정 2파동이 단순하게 나올 시 4 파동은 복잡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 (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)
- 조정파동은 어떻게 나올지 모른다고 판단하고 대응하는 것이 낫습니다. (복합조정에 가속조정일 경우 예
측이 거의 불가능하다)
ex) 2번 파동이 abc형태로 나온다면 4번 파동은 삼각수렴의 형태로 나오는 경우가 많고,
2번 파동이 가격조정이 나오면 4번 파동은 기간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.
ex) 2번 파동이 플랫이면 4번 파동은 지그재그 또는 삼각형
2번 파동이 지그재그이면 4번 파동은 삼각형 또는 플랫
2번 파동이 단순형태면 4번 파동은 복잡한 형태
파동의 성격 충격파동
1번 파동: 하락 abc 파동 종료 이후 나타나는 첫 번째 파동으로 반드시 임펄스웨이브, 리딩다이아고날으로
나오며 잡아내기가 힘듭니다. (파동이 약간 뭉개지는 경우가 많으며, 1파동인지 다시 abc하락파
동인지 알기가 어렵다.)
2번 파동: 1번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 38.2% 혹은 61.8%로 되돌리는 경향이 있으며,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고,
지그재그나 플랫의 형태가 가장 많이 나오며 불규칙 조정이나 삼각수렴의 형태도 나올 수 있습니다.
3번 파동: 일반적으로 1번 파동의 1.618%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승폭이 더 커지거나 작아질 수는 있습니다.
3번 파동은 충격 파동 중 가장 강력한 파동으로 거래량이 최고 수준입니다. 1, 3, 5 충격 파동 중에서
통상 가장 길고 강력한 파동입니다.
4번 파동: 3번 파동의 피보나치 61.8%를 되돌리거나, 3번 파동의 하위파동인 4번 파동 저점과 일치하는 경향이
있으며 파동 변화 법칙에 따라 2번 파동과 다른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5번 파동: 1번 파동의 길이와 비슷하게 형성되거나 1번 파동의 38.2% 만큼 형성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 3번 파동
이 매우 강하게 나올 경우 5번 파동의 고점은 3번 파동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다이아고
날 파동을 제외하면 반드시 5개의 파동으로 구성이 되어있어야 합니다.
파동의 성격 조정파동
A파동: A파동은 한 개의 상승 충격 파동이 끝나고 나오는 첫 번째 하락파동입니다. A파동은 단기 조정파동이 아닌
전체 상승세가 끝나고 나오는 대세 하락의 시작 파동입니다. A파동인지 아닌지 기본적인 구분 방법은 5개의
파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A파동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.
B파동: A파동의 조정 후 기술적 반등 파동으로 많은 사람들이 조정이 끝나고 상승세가 시작된다고 착각하게 만드는
파동입니다. B파동은 A 파동 하락의 피보나치 38.2%, 50%, 61.8% 되돌림이 많이 나옵니다. B파동은 아무 파
동이 나 나올 수 있어 예측이 어렵습니다. (플랫이나 러닝플랫 등)
C파동 : A 파동의 1, 1.618배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, 하락파동 마지막 단계로 반드시 5개의 하위파동으로 구성되며
거래량이 대폭 늘어나고 투매가 나오는 강력한 하락파동입니다.
X파동: 조정파동과 조정파동의 사이에 나오는 조정파동으로 복합 조정에 나오며 엘리엇 파동에서 최상의 난이도에
속합니다.
* 엘리어트 파동은 경우의 수가 많아 전체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* 주된 투자판단 보다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* 피보나치는 고점으로부터 저점을 때 값으로 보고 있습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1. 엘리어트 파동이론 1 (엘리어트 불가침법칙, 피보나치 비율)
'코인 > 기술적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리어트 파동이론 1 (엘리어트 불가침법칙, 피보나치 비율) (1) | 2023.04.22 |
---|
댓글